본문 바로가기

경영기획자 Management planner

[전략기획] 산업분석_내부역량 분석 - 벨류체인, 7S 모델, 핵심역량 앞서 살펴본 성과분석과 재무분석에 이어, 이번 포스팅에서는 경영시스템 분석과 핵심역량 분석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경영 시스템 분석 ① 경영시스템 분석 기업은 사회에 부가적인 가치를 창출하는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이러한 부가가치 창출에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일련의 활동 프로세스를 가치사슬(Value Chain)이라고 하며, M.Poter 분석 기법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벨류체인과 같은 경영시스템을 얼마나 제대로 갖추었는지가 기업 경쟁력의 기반이 되며, 경쟁사 대비 자사의 가치 창출활동에 대한 강약점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② 7S Model 분석 기업이 다양한 개인들이 영리를 목적으로 만든 조직인만큼 성공하기 위해서는 조직의 역량이 뒷받침되어야 함은 말할 것도 없을 것입니다.이런 조직 역량에 .. 더보기
[전략기획] 산업분석, 내부 역량 분석 - 성과분석, 재무분석 기업의 내부역량이란 사업을 추진하는 능력을 말하며, 외부 경쟁력의 기반이 되는 조직 역량을 의미합니다.자산규모, 현금 동원 능력 등의 유형적인 자산뿐만 아니라 브랜드 자산, 경영능력, 조직문화 등의 무형의 자산도 포함됩니다. 단순히 '자사의 역량은 뛰어납니다'라고 말하는 것이 내부 역량을 분석하는 것이 아닙니다.시장은 혼자서 활동하는 곳이 아니다보니, 현재의 경쟁력을 정확히 진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또한 향후에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한 역량 확보 요인/요소를 도출할 필요가 있습니다. 현 수준이라는 것은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것만 언급하는 것이 아니라, 성공 요소별로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고, 기업이 현재의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근본 원인을 밝혀내어야 합니다. 내부역량 분석은 크게 성과분석, 재무분석, .. 더보기
[전략기획] 산업분석, 외부 환경 분석 - 사업환경(산업동향, 시장현황, 경쟁사 동향, 고객 Needs, 기술 동향) 분석 외부환경 분석 중 사업환경 분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앞서 거시환경 분석보다 기업에서 진행하고 있는 사업과도 연계가 되는 분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업 환경 분석은 산업동향, 시장현황, 경쟁사 동향, 고객 Needs, 기술 동향 등을 분석합니다.사업에 따라 더 추가가 될 수도 있겠지만, 일반적인 분석의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 산업 분석 산업 분석은 대개 Porter's Model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전통적인 방법이지만, 경쟁 정도, 잠재적 진입의 위험, 대체제의 위험, 공급자 파워, 구매자 파워에 대한 다섯가지 요인을 집중 분석하고 있기 때문에 유용한 분석입니다. 더보기
[전략기획] 산업분석, 외부 환경 분석 - 거시 환경 분석(PEST 분석) 기업이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영향을 미치는 외부요소를 바로 외부환경이라고 말합니다. 크게 거시 경제 환경과 사업 환경으로 나눌 수가 있습니다.여기서 사업 환경은 산업동향, 시장현황, 경쟁사 동향, 고객 Needs, 기술 동향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외부 환경 분석을 하는 목적은, 환경이 좋아서 좋은 사업이다라는 것이 아닙니다.외부환경이 좋다면, 우리 뿐만 아니라 다른 경쟁사들도 좋은 환경일 것입니다.환경이 나쁘다고 우리의 사업이 나쁜 것도 아닐 것입니다. 외부 환경이 좋다 나쁘다를 알고 싶어서 환경 분석을 하는 것은 아닐 것입니다.분석을 하는 목적은 반드시 확보해야할 KFS(Key Success Factor)를 알기 위해서입니다. 업종, 산업별로 성공 요인은 다르고, 같은 산업끼리도 도입기 시장인지 성숙.. 더보기
[전략기획] 전략적 사고의 적용 - 전략적 사고의 시각화, 시나리오 플래닝 어떻게 전략적 사고를 해야할 것일까요? 독창적인 전략이 좋은 것은 아닐 것입니다. 사업 목표 달성을 목적으로 전략적 사고를 해야하기 때문에, 화려한 전략수립은 안하니만 못하는 것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차라리 단순하고 간결하게 수립하거나, 때에 따라서는 기존의 전략을 유지하는 것이 전략적 사고의 결과일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무엇을 선택하고 포기할지를 고민하는 자세는 늘 필요하다고 봅니다. ▶ 전략적 사고의 시각화 (전체 영역의 시각화) 전략적 사고를 통해서 말하는 전체 내용을 꿰뚫고 있다면, 조금 더 설득력있는 대화를 할 수 있습니다. 조금 어눌하게 표현을 하더라도, 상대방의 문제 제기에 '기승전결'의 흐름으로 논리정연한 답을 할 수 있습니다. 주변에서 '건강식품 사업을 하고.. 더보기
[전략기획] 전략적 사고의 원칙 - 열린 사고, 논리적 사고, 비판적 사고 전략적 사고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사실 전략적인 사고는 유연하면서도 논리적인 사고가 필요합니다. 그러다보니 사실 정답이 있다고는 보기 힘들지만, 나름대로 이론적으로 정리된 원칙이라는 것이 존재합니다. 이를 전략적 사고의 3원칙이라고 부르기로 합니다. 전략적인 사고를 위해서는 사고가 열려있어야 하고(Open Thinking), 논리적인 사고(Logical Thinking)를 해야하며, 항상 비판적(Critical Thinking)여야 합니다. 사실 모든 임직원에게 이러한 원칙은 적용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 열린 사고 (Open Thinking) 기획 전문가는 자신의 논리에만 빠져서는 안됩니다. 머리 속으로만 전략을 고민을 하다보면 빠질 수 있는 함정이기도 하고, 이런 경우 현실과 괴리되어 있는 기획안이.. 더보기
[전략기획] 전략적 사고 기법 - 전략적 사고는 왜 중요한 것일까? 기획업무를 하다보면 전략기획(Strategy Planning)라는 말을 많이 사용합니다.언뜻 듣기에는 멋있어 보이기도 하고, 기획을 하는 사람들의 경우 결국에는 손을 대어야할 분야이기도 합니다. 전략(Strategy)는 무엇일까요? 두산백과를 찾아보니 사전적인 의미로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여러 전투를 계획, 조직, 수행하는 방책'이며, '전쟁에서 적을 속이는 술책'이라는 뜻의 그리스어 Strategia를 그 어원으로 하고 있습니다.기업에서는 목표 달성을 위해 경쟁자(경쟁사)들을 제압하고자 하는 일련의 행위를 계획하고 조직하고 수행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물론 경쟁자가 없어가 경쟁자를 불복시킬만한 많은 자원을 보유한다면, 굳이 전략이라는 것도 필요가 없겠지만, 그런 경우는.. 더보기
[MBO, KPI, BSC] 성과지표 개발 - 지표개발 절차와 방법 완전한 지표 Pool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어떤 절차와 방법이 필요할까요?저비용으로 구축을 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수고로움이 좀 필요합니다. 그래도 효과는 크니 한번 시도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1. 성과지표 개발 TFT 구성 가급적 부서장의 동의하에 모든 부서의 과차장급이 1명이 참여하는 것이 좋습니다.팀 내의 모든 환경과 업무, 일이 예상되는 결과를 잘 알고 있고 TFT 임무 완결 후 팀의 성과코치로서 팀장과 팀원들을 지원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경영층, 핵심고객, 데이터 분석 전문가, 내외부 지표개발 전문가, 직무담당자가 TFT의 구성원이면 좋겠지만, 현실적으로 이 정도로 구성을 하기 위해서 소비되는 비용과 시간이 만만치는 않을 것입니다. 일단 외부전문가 1~2명, 내부 직무담당자는 꼭 .. 더보기
[MBO,KPI,BSC] 성과지표 개발 - 성과지표 Pool 성과관리는 계층별로 달라질 수 있습니다. 회사 내에서 계층은 전사 조직, 단위 조직, 개인이 그 것 입니다. 개인 수준에는 결과지표 일 수 있지만, 단위 조직이나 전사 조직 관점에서는 투입이나 과정 또는 산출 단계를 측정하는 것일지도 모릅니다. 이 부분은 팀 내에서 업무처리 할 때를 예를 들어보면 더 확연히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보통 사원, 대리급에서 Raw data를 가공을 하고 1차적인 분석을 한다면, 관리직 사원 또는 팀장급에서 1차 분석 내용을 토대로 결과물을 내놓는 것과도 비슷한 것일 수도 있습니다.따라서 팀장의 관점에서는 팀원의 성과지표를 투입이나 과정지표로 인식할 수 있다는 의미인 것입니다. 예를 들면, 로직모델을 적용하여 볼 때, 사원급의 산출지표인 '승인된 기획건수'가 팀장의 관점에서.. 더보기
[MBO,KPI,BSC] 성과지표의 종류 - 성과지표의 구분 기준 성과지표는 정량과 정성지표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정량지표는 측정단위가 명확하고 어느 시점에 측정을 하여도 불변하는 정보를 제공합니다.측정도 용이하고 객관적입니다. 반면에 정성지표는 만족도, 진척율, 이해도 같은 다소 애매한 지표입니다.또한 조사대상, 방법, 범위와 시점 등이 달라질 때마다 측정되는 값이 달라집니다.객관화가 되기 어려운 점이 있다는 약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도 성과관리 모형 중에서 로직모델을 적용하면, 지표의 종류 구분과 품질 판단에 매우 용이합니다.로직모델의 원리는 어떤 일이든지 '투입(Input) → 과정(Process) → 산출(Output) → 결과(Outcome)'의 단계를 거친다는 원리입니다.산출의 효과성을 강조한 방법입니다. 기업에서 어떤 일을 할때, 예산, 인력, 시간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