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기획자 Management planner

[MBO,BSC,KPI] 성과지표 심의 기준

반응형

핵심성과지표(KPI)를 심의를 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지표를 수립할 때에는 효과성을 기준으로 진행을 하면 된다는 것을 이전글에서 이야기하였다.



이전글 : 2018/07/17 - [I'm specialist/경영기획자] - [MBO,BSC,KPI] KPI는 효과를 측정한다.

 


그런데 심의하는 입장에서는 어떤 기준으로 지표를 심의할 것인가.

이런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심의하는 당사자가 지표를 심의하는 대상 및 조직의 전문가가 아닐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표를 심의하는 기준은 존재한다.




이번에 이야기할 내용은 이론적이기도 하지만, 실제 심의를 할때 고려해야할 것들이다.

나 또한 해당 내용을 정리해놓고, 지표 심의 전에 숙지하고 들어가거나 사전에 검토할 때 본 기준을 적용한다.





'지표가 적정하게 수립이 되었는지 살펴봐야 한다'


이 부분은 지표의 효과성을 중심으로 살펴보게 된다.


전략목표나 비전달성에 기여한 일의 효과나 결과를 측정하는가?

실무적으로는 비전과 사업계획 수립 시 도출한 전략과제와 지표가 일치하는지를 유심히 살펴보아야 한다.

가장 기초적인 부분으로 전략과제와 지표가 일치하지 않으면 바로 수정요청을 해야한다.


SMART 원리에 따라 수립된 지표인가?

Specific(구체적), Measurable(측정가능), Attainable(달성가능), Realistic(현실적), Time based(시간적 제한)의

이니셜을 따서 지은 것이다.

이 것은 단순 지표 수립 뿐만 아니라 목표설정 시에도 적용된다.

단어만 보아도 어느 정도 이해는 하겠지만, 자세한 설명은 기회가 될 때 하려고 한다. 

KPI라면 반드시 고려해야할 부분이다.


성과책임이 해당 조직에 명확히 귀속되는가?

당연한 부분이겠지만, 해당 조직의 성과지표와 책임소재는 명확히 정의되어야 한다.


각 성과지표 간 중복과 누락은 없는가?

이 부분이 제대로 이루어질려면 사실 직무 R&R과도 연관이 되기 때문에, 여기서는 고려사항으로 참고만 하자.





'상하위 조직과의 연계성 (Cascading)을 고려해야 한다'


전략집중형조직(SFO : Strategy focused organization)에도 중요하겠지만, 상하위 조직 간의 지표 연계는 당연하다.



 이전글 : 2018/07/12 - [I'm specialist/경영기획자] - [MBO,BSC,KPI] 성과관리의 트랜드와 성과관리 체계



이와 관련된 체크사항에 대해 몇가지 살펴보자.


'다양한 단위 사업 또는 핵심직무 활동 결과의 총합을 측정할 수 있는가?'

본부 KPI 지표 내 목표 총합이 회사의 KPI 목표 총합으로 나타내야 하는 부분이다.

쉽게 말하면 회사 내 영업본부가 3개가 있고, 회사 매출 목표가 300억 이라면, 

A본부 100억, B본부 50억, C본부 150억으로 나타나야 한다.


그리고 당연하겠지만, '회사별, 직무별로 적정한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지'와, 

'회사-본부-팀-개인 간 재무/전략지표가 연계되어 있는지'도 체크해야할 요소이다.





'목표의 난이도에 대해서도 반드시 체크해야 한다'


이 부분의 기준은 사업계획 수립 시에도 설정을 하게 되지만, 사업계획 수립 시점과 목표 수립 시점과의

Gap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사업환경은 언제나 생물처럼 바뀔 수 있다.


일단 사업계획을 기준으로 목표가 설정되어 있는지 살펴본다.


그리고 '효율성 관점에서 지표 목표를 판단할 때, 난이도가 있는지 판단한다.'

사실 이 부분을 어떻게 판단하냐고 물어볼 수도 있겠지만 이 부분도 간단히 해결할 수 있다.

자원투입과 산출 개념으로 판단하면 된다. 

전년과 동일한 자원을 투입하는 것을 기준으로 목표치를 상승시켰는지를 판단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난이도에 비해 가중치가 높거나 낮게 설정된 것이 아닌가?'를 고려해야 한다.

생각보다 간과할 수 있는 문제이다.

난이도는 낮은데 가중치가 높은 경우는 종종 보인다.

회사마다 상황은 다르니깐, 어떤 경우가 있는지는 실무를 통해 경험해보아야 할 것이다.




끝으로 KPI를 심의하고 Review 보고를 한 예시자료를 첨부하고자 한다.

일단 한페이지로 간단하게 정리하였는데, 조직마다 중점으로 설정하는 KPI는 다르므로 참고만 하였으면 한다.





회사 내에서 KPI를 심의할 일이 생긴다면, 내 글이 도움이 되기를 기원한다 ^^





반응형